나의 베이킹 일지/제빵기능사자격증

제빵기능사 한번에 합격하기 : 온도 시간 설정 한 번에 정리 - 제빵기능사시험 팁 정리

숲속길 2023. 2. 1.
728x90
반응형

제빵기능사 한 번에 합격하기 : 

온도 시간 설정 한 번에 정리 - 제빵기능사시험 팁 정리

 

제품명 1차발효 2차발효 온도 시간
비상식빵 20~30분 30분 170/180 30~35분
우유식빵 45분 30~35분 170/180 30~35분
옥수수식빵 50분 35분 170/180 30~35분
밤식빵 45분 30분 170/180 30~35분
버터톱식빵 45분 30분 170/180 30~35분
빵도넛 40분 20~25분 180~190 2~3분
색깔나면 뒤집기
모카빵 45분 30분 180/160 25~30분
버터롤 45분 30~35분 190/140 13~16분
스위트롤 50분 15분 190/140 15~17분
소보로빵 45분 30~35분 190/140 15분
크림빵 45분 30~35분 190/140 15~17분
단과자트위스트 45분 30~35분 190/140 30~35분
단팥빵 25~30분 30분 190/150 15분
풀먼식빵 45분 30~35분 190/190 35분~40분
호밀빵 40분 30분 200/160 30분
소시지빵 45분 30분 210/160 12분
그리시니 30분 10~15분 200/160 15~20분
베이글 40~45분 20분 210/190 18~20분
통밀빵 50분 40~45분 230/180(예열)
200/160(굽기)
15~18분
더치빵* 45분 20분 190/160 30분
쌀식빵** 40분 30~50분 180/200 30~35분

*더치빵 : 2023년 11월부터 없어지는 품목

**쌀식빵 : 2023년 11월부터 새롭게 나오는 품목

 

제빵실기시험 발효, 온도, 구움 시간 정리는 온도순으로 정리해 두었다. 

 

제빵실기 시험은 발효 시간 덕분에 제과실기 시험에 비해 여유롭게 할 수 있는 편이다.

발효가 얼마나 잘 되었냐에 따라 제품 결과물의 크기와 상태가 달라진다. 시험장의 발효기의 습도, 온도가 내가 공부했던 학원의 발효기의 상태와 다를 수 있고 시험장 온도가 봄, 여름, 가을, 겨울 모두 다르다. 그래서 여름 같은 경우는 테이블 위에서 어느 정도 발효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겨울에는 시험장에 히터를 틀어놓는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인 기온이 차가워 테이블 위에서 전혀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발효기에 들어갈 수 있다. 그래서 발효 시간은 정확히 맞출 수 없지만 이 정도라는 느낌만 가져가면 된다. 

 

1차 발효는 손가락으로 반죽을 눌렀을 때 묻어 나오지 않는 정도로, 

2차 발효는 대략 크기로 짐작하면 되는데 결과물의 80% 정도가 될 때까지 발효를 하면 된다. 

소문에는 발효를 너무 자주 체크를 하거나 수험자 평균에 비해 빨리 빼거나 늦게 빼도 감점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니 딱 중간 정도로 맞추는 게 좋은 것 같다. 실제로 내가 시험을 볼 때도 나는 다른 수험자들 사이에서 빠르지도, 늦지도 않은 중간 정도로 발효 반죽을 꺼냈고 결과물을 제출했다.

 

굽기는 색깔을 보면서 확인해 주어야 한다. 정해진 시간이 있지만 눈으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하다. 

시험장 오븐은 각 단마다 같은 단에서도 불 세기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판을 돌려가며 굽기 색을 골고루 내주어야 한다.

 

이 글을 보는 수험자들은 모두 한 번에 합격하시길!

 

제빵기능사 실기 정리

728x90
반응형

댓글

추천 글